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말레시아 축산폐기물 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력

전문가 제언

재생 가능한 원료의 혐기성 소화는 바이오가스와 같은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유망기술로 알려져 왔다.

 

바이오가스는 메탄(60%)과 이산화탄소(3540%) 나머지는 물과 황화수소, 기타 불순물로 구성된 지속가능한 에너지 매체이다. 해당 가스가 어떤 폐기물에서 배출되고, 무엇을 위해 정제하는지바이오 가스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본고는 근년에 말레이시아의 축산업증가에 따라 가축과 도축장에서 발생된 분뇨, 혈액, 혹위 내용물을 포함한 많은 양의 축산폐기물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2년 말레이시아 가축폐기물에서 연간 4589.49백만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력이 있으며, 이를 통해 연간 8.27109 kWh의 발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국내의 경우 논산 지역에 총 사업비 195(국비 70%, 지방비 10%,자비 20%)원을 투입, 지난 해 118881.7의 부지에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농림축산부산물 등을 병합하여 바이오가스화를 통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해 국가정책에 부합하는 환경기초시설을 구축하고 경축자원화시설을 증설하고자 한다.

현재 공정률 90%를 보이면서 순조롭게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시험가동을 거쳐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하면, 가축분뇨 등을 하루 150처리 할 수 있는 용량으로 액비저장조가 설치돼 연간 액비 31200t을 생산 하고 퇴비는 연간 5250t을 생산하게 되며 연 1741500의 전기도 생산해 한전에 판매하게 된다.

 

축산폐기물의 자원화는 폐기물의 지역적 특성, 생산된 에너지의 이용, 소화액의 사용처 확보, 가동율, 운전비 등 고려할 사항이 많으나, 에너지소비 10위이며, 소비에너지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우, 바이오 가스는 이를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저자
Peyman Abdeshahia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60()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14~723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