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관통자탄에 대한 철 장갑 성능에 대한 열처리 영향
- 전문가 제언
-
○ 운동에너지탄의 장갑 관통현상은 관통자와 장갑의 상호작용 문제이기 때문에, 장갑만을 다루는 것은 부족하며 관통자재와 관통 시 관통자 거동도 같이 관찰 분석되어야 하는데, 강장갑을 포함 강의 열처리는 세계적으로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온 주제로, 관통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관통자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이 더 많다.
○ 텅스텐 중합금(WHA)이란 단일 금속이 아니라 텅스텐이 무게비로 90% 이상 포함되어 있고 나머지는 니켈과 철등으로 구성된 합금인데 중장갑으로 무장한 전차를 파괴시키는 대전차탄의 관통자로 사용된다. 이때 관통자의 운동에너지를 이용 장갑을 파괴하기 때문에 밀도가 큰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다단 열처리란 가열과 냉각을 반복 강인한 재질로 변환 충격 내인성을 기존 대비 300%이상 향상시키는 것을, 미세조직 제어기술이란 텅스텐 의 입자형상을 불규칙한 모양으로 변환시켜 관통 시 끝부분이 스스로 예리하게 변환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WHA탄자에 대해서 미국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연성을 유지하면서 밀도와 강도를 높이고 탄자의 끝은 항상 날카롭게 유지하게 하려는 관통자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WHA 다단열처리기술과 미세조직제어기술을 개발하여 최고 관통력의 열화우라늄탄과 동등이상의 관통성능을 갖는 전차포탄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 국내에서 강 장갑은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포항공대를 포함한 산학연 연구로 우리나라 최초 장갑차에 적용된 균질압연강재를 포함한 유격장갑이 해당되고, 특수 장갑 키트(SAP)형태로 적용된 K1전차의 장갑에도 강 장갑이 포함되어 있는데, 동일한 관통자에 대해 강 장갑은 오스테나이트화후 뜨임온도가 낮을수록 탄도성능은 좋으며 450℃ 뜨임을 권장한다.
- 저자
- P. Ponguru Senthil, B. Bhav Singh, K. Siva Kumar, A.K. Gogi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80()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3~23
- 분석자
- 허*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