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버 레이저를 이용한 중후판 절단기술
- 전문가 제언
-
○ 광섬유에 소량의 희토류를 첨가한 레이저 매체를 사용하는 고체 레이저인 파이버 레이저는 고출력, 고효율, 작은 용적률 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전기, 정밀기계, 통신 산업, 우주?항공기 산업 등에서 정밀 이음부를 용접하거나 판재를 절단할 때 생산성이 뛰어나고 용접/절단부의 품질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이버 레이저에 대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 파이버 레이저에서는 집광렌즈와 가공물 사이의 간격인 L(standoff distance)이 길수록 초점의 깊이도 커진다. 따라서 품질이 우수한 빔일수록 용접에 영향을 미치는 L이 길고 초점의 깊이도 긴 것이 필요하다.
○ 최근 용접과 절단을 동일한 장비에서 수행하도록 개발된 복합공정장비는 용접과 절단을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가공시스템에 비해 짧고 집적화된 공정의 연결, 장비의 높은 이용률, 다양한 요구에 대한 융통성과 고능률 생산, 절단재의 취급과 위치 고정 및 클램핑 등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의 절감 등의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 동일한 시스템에서 용접과 절단을 수행하는 용접/절단 헤드는 접근성, 속도, 가속, 그리고 정확성에서 적용 지향적인 필요조건을 제공하는 적합한 기계운동학, 가공제품에 대해 양호한 접근성을 갖도록 간섭이 적은 슬림형, 그리고 광범위한 작업속도 구간에서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공정변수 등과 같은 3차원 능력을 지니는 것이 필요하다.
○ 고품질의 복합공정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력적이기 위해서는 직선형으로 추진되고 통합 빔으로 유도되는 갠트리 로봇과 같이 동적 응답성이 높고 정확성을 갖는 3차원 장비 또는 로봇시스템, 파이버 레이저와 같이 파이버 결합 빔 전송과 훌륭한 빔 품질을 갖는 레이저시스템, 슬림형 디자인과 짧은 길이 및 동적인 z-축의 신속한 거리 통제의 결과에 의해 3차원 능력을 최적화시킨 복합헤드 등의 요소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 저자
- 石井 幸二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3(9)
- 잡지명
- 溶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8~53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