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대사산물들로 부터의 신약자원 개발

전문가 제언

사람과 사람의 소화관에 공생하는 장미생물군들 사이에서 세균들이 만들어내는 대사산물들이 인간유전자의 발현 그리고 생화학적 경로들에 대한 고도의 특이조정자 역할을 하는 것이 많다. 장미생물군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들은 사람의 생리기능 조절에 적절하고 인체에 불리한 효과들에 대한 위험성 탈피에 적합한 신약자원분자들을 찾아낼 수 있다.

 

실제로 소화관 세균들에 의해 일어난 형질전환반응의 대사산물들은 제약 종사자들이 희망하는 약물-유사 성질들을 더 잘 포함하고 있다. 이 리뷰는 미생물-인간숙주 사이의 교차신호를 촉진시키는 내재성 세균의 대사산물들의 역할과 그들의 새로운 약물자원으로서의 개발전략에 초점을 두고 알아본 것이다.

 

연구자는 세균-인간수용체 상호작용의 회로망과 그에 이어지는 하류 세포반응 반응에 관해 현재까지 비교적 잘 밝혀진 대사산물들인 짧은 사슬 지방산들(SCFAs), Niacin B, Urolithins, Equol, Indol, Protocatechuic acid, 8-Prenylnaringenin의 생산세균들, 그 대응숙주 수용체 및 그들에 의한 숙주질병 방어능에 관한 최신 정보들을 소개한다.

 

또한 미생물 대사산물의 의약물로의 변환을 위한 개선발전전략으로서, 미생물군계 유전체에 근거한 미생물의 합성유전자군 및 대사산물들의 생물활성의 확인과 새로운 세균들의 발견, 제약회사들에서 제안되는 원천들을 고려한 정보들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대형 물질-기반 DB와 대규모 스크리닝 정보의 보강, 더 강력한 약리작용을 가진 대사유사체들의 추적과 그 작용기구(MAO)의 규명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미생물군계 유전체 연구의 발전, 미생물군집들의 변화와 인류건강의 개선 사이의 원인관계를 지지하는 MOA가 발전되어 가고 있으므로 장미생물-유래 대사산물들이 약물자원 발견과 개발 면에서 더 많은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국내의 약학 및 제약학 분야의 연구개발 수준은 국제적 수준이다. 이 분야 종사자들에게 이 리뷰는 신약자원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저자
Somdutta Saha, Deepak K. Rajpal and James R. Brow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1(4)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92~698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