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nfiniBand를 사용한 데이터 처리 고속화 실현

전문가 제언
최근 하드웨어 성능 및 비즈니스 모델혁신을 통해 트랜잭션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기간업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센서, 교통카드 및 스마트 미터에 의한 데이터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빅 데이터 처리와 연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순간적으로 대량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에 대한 고속성과 신뢰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문헌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미들웨어를 소개한다.

 

이 미들웨어 특징은 슈퍼컴퓨터 분야 등에서 적용이 확산되고 있는 네트워크 기술의 InfiniBand를 사용한 초고속 인메모리 데이터 관리 기술이다. 이 기술은 네트워크 관리층에 InfiniBand가 제공하는 RDMA(Remote 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포함하면 기존 응용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변경 없이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존보다 고속 응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InfiniBand에서는 폴링으로 패킷 도착을 항상 감시하고 도착 즉시 처리함으로써 낮은 대기시간과 높은 처리율을 실현하고 있다.

 

시장 선두인 멜라녹스테크놀로지스와 인피니밴드 회사인 큐로직을 인수한 인텔 등 세계적 기업은 InfiniBand 관련 기술개발을 통해 데이터 고속처리 분야의 시장을 적극적으로 넓혀 가고 있다. 오라클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자사 엑사데이터(Exadata)와 엑사로직(Exalogic) 성능을 높이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 출시된 윈도우 서버 2012RDMA를 직접 지원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몇몇 기업이 세계적인 회사의 제품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InfiniBand는 높은 입출력처리 능력으로 대부분 슈퍼컴퓨터가 이를 채택하고 있으며 빅 데이터 처리와 관련하여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슈퍼컴퓨터 개발과 빅 데이터 관련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초고속 데이터처리 기술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InfiniBand와 이너넷 간의 기술경쟁이 진행 중이므로 양자 간의 세계적인 기술경쟁 추이를 봐가면서 InfiniBand와 이를 활용한 초고속 데이터처리 기술개발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저자
Yamamoto Shoj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66(1)
잡지명
雜誌FUJITSU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7~54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