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철 바이오리칭 - 구리광산 황화광석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리칭은 기존 제련공정에 비하여 독성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또한 공정이 단순하여 조업비가 저렴하고 광산현지에서의 적용이 가능하여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본 논문은 중국 Zijinshan구리광산에서 미생물을 사용하여 상업성이 있는 구리를 추출하는 과정 및 성공한 결과에 대한 것이다. 2006년-2010년까지 Zijinshan 공장에서는 침출용액인 raf?nate를 사용하여 구리와 낮은 pH와 높은 농도의 철을 생산하였다.
○ 바이오리칭에서 철의 용해를 줄이고 낮은 전류효과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Zijinshan구리광산의 집수지에 모이는 산성광산배수(AMD)는 약 1500m3/h이다. 이는 구리의 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2차적인 오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미생물을 사용하는 실험은 Zijinshan광산의 2차 저품위 황화광물광석을 시용하였다. 침출 시뮬레이션을 위해, 침출용액, 침출수처리(재순환 유무에 관계없이), 용액공급시간, 온도, pH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활용하여 구리 회수 및 철 추출을 평가하였다.
○ 결과는 컬럼교반반응기 안의 높은 온도와 공기를 충분히 유지하고 광석 표면의 습기를 보장하기 위해 하루 6-8시간 침출용액을 공급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Zijinshan구리광산에서 구리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산성광산배수(AMD)가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까지 동광석 생산이 이루어졌고 많은 중소 휴폐광산이 산재해 있다. 당시에 이들 광산에서 생산된 저품위 구리폐석과 금 은 등 다른 금속광산에서 부수광물로서 동이 함유된 폐석이 있다. 이 저품위 구리폐석에서 바이오리칭법을 활용하여 구리 회수를 시도해 볼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중국 Zijinshan구리광산에서 성공한 바이오리칭 법 활용과 더 진전된 기술을 기대해 본다.
- 저자
- Zeng-ling Wu, Lai-chang Zou, Jin-he Chen, Xiao-kang Lai, Yong-guan Zh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49()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 Process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24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