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지역에 유기폐기물재료에 대해 분산적 활용: 홍콩지역 사례연구

전문가 제언

도시지역은 높은 인구밀도와 방대한 액체 및 고형 폐기물을 생성하는 곳으로 특정지어진다. 이를 적절히 처리하지 않는다면, 도시지역 환경에 축적되어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인구밀집지역인 도시인 경우에 도시폐기물 중에서 유기폐기물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가치 있는 복합물이 많아서 생물학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변환시켜서 도시지역의 필요를 보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유기폐기물은 원료로 방대한 잠재력을 지기고 있으며, 홍콩 경우에 도시고형물 40wt%가 음식쓰레기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념은 유기폐기물재료를 처리하고 재활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잠재력을 이점을 살리며, 재순환을 설정하는 것이다.

 

기술적 맥락에서 가수분해, 폐기물 감축, 도시구조와 유기폐기물 면에서 통합 등을 토의한다. 특히 도시의 특성에 따라서 홍콩 경우에 보통 640 주민이 사는 빌딩(아파트)을 중심으로 분산적으로 폐기물을 수집, 분리, 이동 그리고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로 재활용 제품을 생산할 것을 건의 하고 있다. 조사 결과 640 거주자들은 일일 250kg 이상으로 젖은 유기폐기물을 생성하고 있으며, 기지에서 분산적 공정을 사용하여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를 하였다.

 

250kg되는 축축한 유기폐기물를 가수분해한 결과, 33kg 글루코스, 15kg 지방질, 0.6kg 유리아미노질소(free amino nitrogen) 그리고 0.2kg인산염(phosphate)을 얻었다.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의 가수분해는 13kg의 지방질이 풍부한 잔여고체를 생성했다. 회복된 영양분의 양은 6kg 지방질과 8kg의 고가 단백질로 구성된 약 30kg Chlorella pyre -noidosa(클로렐라성장인자)를 일일 생산하기에 충분했다.

 

도시유기물질 재순환은 지속가능폐기물처리뿐만 아니라 순환경제 및 도시지역 자원공급을 자급자족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은 특히 아파트 단지가 많은 곳이라 아파트 음식쓰레기를 단지별로 분산처리해서 통합하여 재활용하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저자
Daniel Pleissn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86()
잡지명
Ecological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0~125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