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강에 미치는 트랜스지방산의 영향과 잠재적 식이중재

전문가 제언

트랜스지방산은 유지 가공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식품의 보존기한을 늘리는 효과도 있으며, 이것을 섭취할 경우 악성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미국FDA에서는 지난 2006년부터 식품 중 트랜스지방 함량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FDA에서는 2013년부터 트랜스지방산을 식품첨가물에서 완전히 제외할 것을 검토한 바 있고, 이후 FDA는 과학적인 타당성을 더 검토하여 20186월부터 식품가공공정에서 트랜스지방산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트랜스지방산을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으로는 마가린(14.4g/100g), 전자레인지에서 튀긴 팝콘(11.0g/100g)이 있다.국민 1인당 하루 섭취량은 성인 0.18g, 청소년 0.48g으로 WHO 권장량보다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국내에서는 20069월에 트랜스지방산 표시 규정을 개정하여 고시하였으며, 1년 동안은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을 자율적으로 표시하도록 권장하였고, 2007121일 의무화하여 제품의 포장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Safe Food,Vol.2, No.1,2006)

 

국내 연구진도 2009년도 지방산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2009)을 발표한바 있고,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논문발표집(2007)에서도 트랜스지방산이 건강과의 관계를 심포지움 형태로 심도 있게 다룬바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내생적 트랜스지방산 생성의 생물학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인체 내에서 이 내생적 트랜스지방산 생성을 저해하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도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해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Wei-Lun Hung , Lucy Sun Hwang , Fereidoon Shahidi Min-Hsiung Pan , Yu Wang , Chi-Tang H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5()
잡지명
Journal of Functional Fo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24
분석자
장*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