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외선 차단제 조성

전문가 제언

현재 자외선 필터(UV filters)는 선스크린(sunscreen)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상 화장품(; 피부, 입술, 머리 및 메이크업)의 중요한 성분이다. 그런데 자외선차단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가 높은 선 케어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선 케어 제품에는 UV 필터가 점점 다량 포함하게 되었다.

 

그러나 UV 필터를 다량 첨가하는 것은 상당한 원가증가, 불유쾌한 피부 감촉, 미관 불량 등으로 인하여 항상 타당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고함량의 선스크린은 피부자극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SPF를 증가시키면서 피부촉감도 개선시키는 물질에 대한 니즈가 계속 존재한다. 본 발명은 SPF를 증가시키면서 피부촉감도 개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청구사항은 친수성 벤조이미다졸(benzimidazole)UV-B 필터, UV 흡수 작용기()로 기능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 및 고도의 다공성 실리카 비드 및/혹은 가교화된 PMMA 비드로 구성되는 국소 피부용 조성물이다. 이 외에도 생체 내 SPF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고도의 다공성 실리카 비드 및/혹은 가교화된 PMMA 비드를 사용하는 것과, 수성 벤조이미다졸계 UV-B 필터와 UV 흡수 작용기()로 기능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의 생체 내 SPF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특허는 한국특허청의 공개번호 10-2016-0030216(UV 필터, UV 흡수체로 작용화된 유기폴리실록산 및 다공성 실리카 및/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UV 스크리닝 조성물)으로 공개 되었다. 한편 이 공개특허에 대한 PCT의 국제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발명의 창의성과 직접 관련되는 선행특허출원이 있다. 그러므로 이 출원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다. 여하튼 선행특허에 관계없이 특허권과 저촉되는 일이 없도록 연구개발계획을 추진해야 한다. 국내에서는 자외선 필터에 대한 연구는 공개특허가 많으며, 논문발표는 적다.

저자
DSM IP ASSETS B.V.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14383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