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로바이러스 선별검사에서 생물발광효소 면역측정법의 검토
- 전문가 제언
-
○ 노로바이러스는 음식물이나 물 등을 통해 섭취할 경우 사람에게 감염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Enteric virus)의 한 종류이다.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5개 유전자형(GⅠ, GⅡ, GⅢ, GⅣ, GⅤ) 중 2개의 유전자형(GⅠ, GⅡ)이 식중독을 유발한다. 농관원에서는 농산물산지 유통센터와 GAP 세척시설 등을 대상으로 농산물 세척용수에 대한 노로바이러스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 신종 GⅡ.17 Kawasaki균은 지난 겨울 아시아에서 많은 식중독을 발생시켰고, 미국 미네소타주에서는 신종 노로바이러스 균주가 보고되는 등 지난 수년간 신종 바이러스가 출현해 많은 감염을 일으킨 바 있다. 손을 철저하게 씻고 음식을 올바르게 취급해야만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표면과의 접촉이나 감염자, 분변물질 또는 토사물과의 접촉 혹은 오염된 식품과의 접촉을 통해 확산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캐나다 퀘백 심폐연구소의 캐롤라인 더체인 박사는 노로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공기를 매개로 한 전이가 노로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어려웠던 이유로 설명할 수 있고, 특히 병원에서 노로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위한 새로운 방책이 검토되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의 연도별 노로바이러스의 집단발생 건수를 발표했는데, 2012년에는 50건 발생하여 환자 수 1,784명, 2013년 42건으로 환자 수 1,200명, 2014년 49건에 환자 수 844명, 2015년에는 17건에 환자 수 88명으로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 국내 연구로 질병관리본부(2015년)에서는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진단용 양성표준물질(GI, GII) 생산 및 분석을 정책연구 용역사업으로 수행했으며, 장석재(2015) 등은 국내 지하수의 노로바이러스 분포 양상과 제어기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바 있다.
- 저자
- Rikito Shimomura, Daisuke Shimizu and Hiroshi Nakagaw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32(4)
- 잡지명
- 日本食品微生物???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19~223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