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의 용융금속 이행
- 전문가 제언
-
○ 서브머지드 아크용접법은 1,500~3,000A의 대전류를 사용할 수 있어 용착속도를 비약적으로 고능률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난 용접기술로 판 두께가 두껍고 용접 길이가 큰 선박의 외부 구조물이나 해양구조물과 같은 거대한 강구조물을 용접으로 제작하는 데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 아크용접공정에서 용융금속의 이행모드는 아크의 안정성, 용입 특성, 용접결함의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용접부의 품질을 확보하려면 용융금속의 이행 현상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서 아크의 발생과 용융금속의 이행작업이 플럭스 내부에서 진행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메탈 아크용접의 경우와 같은 용적형, 펄스형, 단락형 등의 용융금속의 이행모드를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용융금속 이행을 표시하는 신호를 해석하여 용융금속 이행의 주기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본문에서 제시하는 터널방식과 같은 특수한 장치와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생산성이 뛰어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법을 이용하여 선체구조나 해양구조물을 제조할 때 용융금속의 이행모드를 정확하게 규명하고 모재와 용접재료의 화학 성분, 용접 시공절차 등과 같은 핵심적인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면 용접이음부의 온전성(integrity), 품질, 일관성(consistency) 그리고 높은 용접 생산성과 낮은 용접 제조비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선박, 해양구조물 제조현장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기술 수준을 끌어 올리고 용접품질을 향상시키고 용접 생산성을 높이며 용접이음부에 결함이 없는 고품질의 용접부를 얻기 위해서는 용접와이어 선단에서 일어나는 용적이행 형태의 세밀한 이해와 용적이행의 제어기술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 저자
- P.F. Mendez, G. Goett, and S.D. Gues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94()
- 잡지명
- Weld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26~333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