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졸겔법에 의한 BaTiO3 나노결정의 합성과 응용

전문가 제언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소형·경량화와 함께 다기능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적층칩 커패시터(MLCC)는 개발 초기에는 3216(3.2×1.6), 2014(2.4×1.4)로 시작되어 점차 소형화되었다. 최근에는 0603(0.6×0.3), 0402(0.4×0.2)가 대량 생산되고, 0201(0.2×0.1)인 초소형 부품도 개발되고 있다.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높이려면, 유전체 양면의 전극판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것, 전극의 면적이 클 것, 유전체의 비유전율이 높을 것,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MLCC를 대용량화하기 위해서는 1이하 두께의 유전체 층을 수백 층 적층해야 한다. 이때 그린 시트(green sheet)의 박층화를 실현하려면, (Ba,Ca)(Ti,Zr)O3 강유전체 분말의 미립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MLCC용 유전체 분말은 종전에는 입경이 500이상의 수준이었고, 그 후 150300급의 미립분말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100이하의 유전체 분말을 액상법인 공침법, 졸겔법, 수열법, 등으로 합성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졸겔법으로 BaTiO3 나노결정을 합성했다. 출발물질인 용액상태의 전구체 농도를 높이고, 결정체의 표면개질을 개선하여 분산성을 높였다.

 

BaTiO3 나노결정과 수지를 혼합하여 유기무기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유전체 박막과 투광성 복합체를 개발했다. 액상법을 이용하여 유전체 나노분말을 합성하는 연구는 오래 전부터 국내외의 다수의 대학 또는 전문 연구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다. MLCC 전문제조업체인 삼성전기(), 삼화콘덴서공업(), 등에서도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장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전자종이(e-paper)에 응용할 수 있는 초박형 박막 커패시터 등의 박형 부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유전체와 수지의 복합체 연구에도 관심을 높여야 한다. 또 광학소자를 목표로 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전체 나노결정을 이용한 투광성 복합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저자
Masashi Arimura, Koichi Suematsu, Naoyuki Uchiyama, Shingo Saita, Teruhisa Makin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51(4)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16~220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