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r 이온을 첨가한 Ni-Zn 페라이트 나노분말의 제조

전문가 제언

연자성 페라이트(soft ferrite)는 성분별로 Ni-Zn, Mn-Zn, Mg-Zn계 등으로 구분한다. 이들 재료는 벌크형 페라이트 코어에 응용되어, 주로 전자 디바이스의 인덕터 또는 트랜스포머의 코일 부품으로 사용된다. 최근에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가 보급되면서 Ni-Zn계 페라이트는 적층칩 인덕터(multilayer chip inductor) 또는 적층 칩 비드(multilayer chip beads)용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Ni-Zn계 페라이트의 용도가 확대되면서 크기의 소형화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특성도 다양해졌다. 따라서 페라이트의 조성변화 외에도 다양한 성분의 첨가물을 이용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종래 Bi2O3, Co3O4, SiO2, V2O5 외에도 Nb2O5, MoO3 등의 희유 물질도 검토되고 있다.

 

또한 합성과정에서 종래에는 주로 고상법을 이용했으나 최근 공침법, 졸겔법 등의 습식합성법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입자를 연구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페라이트 분말은 소결온도를 낮출 수 있고, 적층 칩 부품을 만들 때 더욱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문헌은 상기에서 언급한 첨가물 대신 Cr2O3를 사용하여 수열 합성법으로 Ni-Zn 페라이트를 합성한 것이다. Cr3+ 이온이 Ni-Zn 페라이트의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액상 합성법은 조성을 제어하기 어렵고, 합성과정에서 다른 금속 이온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며, 이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량의 물로 세척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크롬(Cr) 화합물은 유해성 논란이 되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납(Pb)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사용을 기피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문헌은 학술적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을지 모르나 공업용으로 참고하기에 다소 미흡한 점이 느껴진다. 국내외의 페라이트 적층칩 부품을 생산하는 전문업체에서도 대부분 고상법에 의해서 합성된 페라이트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저자
Yuksel Koseogl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417~6423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