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유화 및 오일 중의 고체분산 최신기법
- 전문가 제언
-
○ 소개된 총설에서는 고압균질 또는 초음파와 같은 고에너지기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에멀션 또는 S/O 분산물을 제조하여 의약학적 응용을 시도한 많은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그러한 고에너지 조건하의 단백질 (특히 고분자량 분자들)의 폴딩 변화가 최종적 활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대부분의 내용이 그러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은 점을 관련 분야 연구자 및 생산자들은 참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관심 단백질이 치료용 약물일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
○ 페길레이티드(PEGylated)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생체 내에서의 스텔스 기능 강화가 나노메디신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PEG의 길이에 따른 스텔스 기능의 차이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경피전달에서의 문제는 나노입자크기의 최소화가 전달시스템 디자인에서 제일 관건인데, 많은 시행착오적 최적화공정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 새로운 특성의 물리화학적 성질 (온도, pH, 지질 환경 등에 따라 구조전 변신을 행하는[in-phase out, out-phase in])을 갖는 계면활성제의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의학용 나노에멀션의 디자인 및 응용영역의 확대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 나노수준의 단백질 기반 의약학용 에멀션, S/O 분산물의 개발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따라서 시장에 진출된 에멀션 기반 단백질 나노메디신의 수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즉, 앞으로의 새로운 개발 가능성은 거의 무한하다.
키워드:
나노메디신, 단백질나노에멀션, 단백질S/O나노분산, 경피나노단백질약물전달, 고에너지호모지나이징
- 저자
- Madalena Martin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34(6)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96~505
- 분석자
- 윤*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