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펌프식 식품 건조기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식품 건조기의 건조작업은 가열에 의하여 이뤄지며 가열원으로는 열풍가열기나 전기가열기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전기가열기식 식품 건조기는 간단하게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제어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 전기가열기를 활용하여 건조물(식품)과 건조물 주위의 공간을 가열하면 공간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외기를 흡입?배출하며 증발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건조가 이뤄진다.
? 그러나 열풍 혹은 전기가열기식 식품 건조기는 외기의 조건에 따른 작업시간 조정이 어렵고 미세먼지라든가 유해균에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킬 있고 에너지 소비가 많은 등의 단점이 있다.
○ 히트펌프식 식품 건조기는 가열원으로 전기가열기를 사용하지 않고 히트펌프의 최대 장점인 냉각과 가열을 동시에 보완적으로 시행하며 식품의 제습건조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일본의 Orion Machinery(오리온기계)사가 개발한 히트펌프식 식품 건조기를 소개하고 있다. 이 건조기는 어느 곳에서나 우천에 관계없이 각종 과일, 야채, 육류, 어패류 등과 이들의 가공품을 건조나 반건조하는데 또는 직접 먹을 수 있도록 익히는데 활용될 수 있다.
○ 국내에도 히트펌프를 응용한 식품 건조기 제조를 위한 연구개발이 여러 중소기업에서 이뤄지고 있으나 아직 시장규모로 발전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본고는 히트펌프식 식품 건조기를 소위 ‘제 6차 산업’의 활성화에 연계시켜 설명하고 있다. 6차 산업이라는 용어는 일본 Tokyo 대학의 한 교수(Imamura Naraomi)가 1차 산업의 ‘1’, 2차 산업의 ‘2’, 3차 산업의 ‘3’을 합(1+2+3=6)하여 희화적으로 표현한 조어로서, 일본 지방경제 활성화에서 주로 등장하는 일반명칭으로 되어 있다. 본고의 히트펌프식 식품 건조기를 우리나라 농어촌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연계시켜 검토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저자
- YOSHIOKA M.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90(1057)
- 잡지명
- 冷凍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17~822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