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D 프린터를 활용한 골?골관절 대체재료 개발

전문가 제언

의료분야는 3D프린터를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이 많은 분야다. 인공고관절슬관절악골 같은 골골관절 대체재료와 치과 보철물, 치과교정 분야에서 금속 또는 세라믹분말을 출발재료로 하는 3D프린터 활용이 이미 진행 중이다. 이 해설자료는 골관절 대체용 재료를 비롯하여 정형외과치과분야에서 금속 3D프린터에 의한 기능성 구조재료의 개발동향을 다룬다.

 

골관절 대체를 위한 기능성 구조재료 수요는 인구의 고령화와 함수관계에 있다. 일본의 경우, 2006년에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20%를 상회하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우리나라는 10년 후인 2026년에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로 분석된다(UN통계).

 

이러한 고령화추세는 정형외과치과분야구강외과뇌외과성형외과용 기능성 골골관절 대체수요의 자연증가가 불가피하다. 3D프린터에 의한 적층조형기술, 특히 금속 3D프린터를 이용한 PBF방식의 적층제조기술은 의료분야에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다.

 

현재 폴리머는 거의 모든 외과치과용 구조재료되고 있다. Ti과 그합금은 수술기구, 결손수복물, 임플란트 등 여러 분야에서 가장 유용하게 응용되는 금속재료이며, 아파타이트(apatite)는 결손수복물과 임플란트용으로 수요가 많은 재료다. Ta, Zr, Co-Cr-Mo 등 금속재료도 뇌외과와 정형외과에서 3D프린터에 의한 응용 가능성이 있는 재료들이다.

 

국내의 의료영역에 3D프린터의 활용은 유망한 분야지만 아직 기술응용이 극히 초보단계이며, 골관절 대체용 기능성 구조재료개발 연구는 발견되지 않는다. 다만, 논문 “FDM방식의 3D프린터를 이용한 골반골절환자의 맞춤형 모델제작”(2014) 검색은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다. 이 분야의 연구개발, 특허출원, 실용화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관련 R&D프로젝트와 안전성 규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저자
NAKANO Takayo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4(5)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7~62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