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속기 구동 원자로에서 마이너악티니드가 노심 동특성 및 반응도계수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원자력은 사용 후 핵연료와 원전 운전과정에서 배출되는 방사성폐기물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원자력발전을 이용하고 있는 국가들은 사용 후 핵연료의 처리문제 때문에 원자력 이용 확대가 어렵고 새롭게 원자력을 이용하려는 국가들은 방사성폐기물과 원전의 안전성 때문에 원전 도입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

 

원자력계는 사용 후 핵연료에 함유되어 있는 초장수명 방사성핵종(MA, Minor Actinides)을 고속로의 핵연료에 섞어 고속중성자와 반응시키면 짧은 수명의 방사성핵종으로 전환(또는 소멸처리)되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관리기간을 1,000분의 1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외부에서 가속기를 사용하여 미임계 상태의 고속로 노심에 중성자를 공급하면 노심사고가 발생할 수 없는 안전한 조건에서 MA를 소멸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속기 구동 고속로를 이용한 MA 소멸처리방안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실제로 EU는 미임계 고속로와 가속기를 결합한 MA 소멸처리 실험용 고속로 MYRRHA를 벨기에에 건설하고 있다. 이 자료도 그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MA 혼합 고속로 노심의 동특성 분석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0년대부터 우라늄 이용률을 100배 이상 높일 수 있고 MA 소멸처리가 가능한 고속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19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고속로 설계를 시작하여 2000년대 중반에는 600MWe급의 고속로 KALIMER-600의 개념설계를 완료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8년에 원자력위원회는 2028년까지 고유개념의 600MWe급 고속로 연소로(MA Pu) 실증로를 건설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Fulushima 원전사고로 인한 여건 변화와 재정 조달문제 때문에 2011년에 150MWe급의 고속원형로 PGSFR의 건설로 목표를 수정하였다.

 

그러나 고속로는 개념 자체가 고속중성자를 이용하는 원전이기 때문에 MA를 소멸 처리할 수 있는 고유특성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PGSFR에 대한 연구개발은 곧바로 MA 소멸처리대책과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Run Luo, Hongbing Song, Liang Zhang, Fuyu Zh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83()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19~426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