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류 폐기물 상향식 가스화 사례연구
- 전문가 제언
-
○ 축산폐기물은 새로운 폐기물 처리방법을 찾아야 하는 시급성 때문에 가스화와 같은 열화학 전환에 대해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급 원료로 가금류 폐기물을 이용한 농장에서 실제 규모의 자가 열 가스화시스템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가금류 폐기물의 ash 융점은 639℃로 낮아서 반응로 온도는 이 온도를 지켜야 한다. 반응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 가스 효율(CGE:Cold Gas Efficiency)은 0.26, 탄소 전환효율(CCE:Carbon Conversion Efficiency)은 0.44로 공정 성능 파라미터가 낮았다.
○ 가스화과정에서 생성된 가스에는 HCN, H2S 및 HCl과 같이 N, S 및 Cl를 함유하는 또 다른 미량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 생성가스를 가스엔진이나 터빈에 사용 시에는 유해성이 사전 검토되어야 하고, 이 설비는 구조가 간단하고 투자비가 적게 들어 농장에 적용이 용이하지만, 온도조절의 어려움과 타르를 형성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 세계적인 추세는 폐기물 자원화 분야에서 열분해/가스화기술. 청정소각기술, 고효율 발전기술 특허 증가율은 감소했지만, 논문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높아 최근 기초 연구 위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 열분해/가스화의 경우 상용화 공정을 가동하고 있는 일본이 주로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나, 유럽은 아직 기초 논문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술은 현재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으며 주로 기초연구와 기업들의 기술개발이 모두 활발한 상태이다.
○ 열분해 소각시설은 폐기물의 자원화 및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 예방, 해충으로 인한 민원 해결, 부지난 해소 등 다양한 이점이 있는 환경 친화적인 방식이다. 열분해가스화 방식의 연구는 국내 소각방식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N.C. Taup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50()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4~333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