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워치의 커버 설계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워치의 2중 커버 설계기술은 내부 층(전자부품)을 통해 핵심기능을 실행하고, 외부 층을 통해 전자기기를 터치방식으로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UI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손쉬운 전자기기 터치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UX 기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내부의 핵심 전자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상업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특화 기능은 국내 스마트워치 UI 플랫폼 설계 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은 스마트워치의 커버를 2중으로 설계하여 외부 층의 베젤(bezel)을 이용하여 터치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UI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좀 더 개선하여 터치방식에 햅틱(haptic : 촉각) 방식까지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편리하고 향상된 UX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회피설계 방안이 필요하다.
○ 스마트폰 시장이 점차 포화상태가 되면서 웨어러블 기기 시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설치형(installable), 휴대형(portable)을 거쳐 착용형(wearable)으로 발전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신체의 착용 부위에 따라 특정 기능이 다르다. 머리에 착용하는 제품은 인간의 눈을 대신하며, 손이나 팔목에 착용하는 제품은 다른 물체를 조정하는 기능이 부여되며, 하체에 착용하는 제품은 인체의 움직임과 운동량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부위가 목, 팔, 허리, 몸통, 손가락, 발 등 다양한 부위로 적용되면서 점차 새로운 기능이 융합되어 인간의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
○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관련 국제표준화는 미들웨어 계층과 응용계층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기기의 종류와 특성이 다양해지면서 네트워크 계층 및 하드웨어 계층의 표준화로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공동으로 운용하고 있는 Healthcare 작업그룹, 사물인터넷 제품을 지원하고 있는 Core Framework 작업그룹,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을 스마트 홈 네트워크(u-홈)에 연결하고자 하는 Smart Home 작업그룹이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국내 관련 기업의 국제표준화에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 저자
- SAMSONITE IP HOLDINGS S.A.R.L.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3846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4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