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인구에서 감염질환의 발생 위험성
- 전문가 제언
-
○ 노인에 있어 감염질환의 원인은 젊은 연령층의 경우보다 더욱 많고 다양하다. 노인에서는 환자의 순응도 문제, 시술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감염질환을 진단하는데 많은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또한 감염질환과 관련된 임상증상이 매우 모호하고 비특이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단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염질환의 주된 증상인 발열의 경우, 노인의 감염질환 중 20∼30%에서는 발열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백혈구증가증이나 CRP(C-reactive protein)도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기 때문에 위음성 및 위양성의 가능성을 높인다.
○ 노령인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감염질환은 요로감염증이며, 그 다음으로 폐렴, 게실염, 심내막염, 패혈증, 피부 및 피하조직감염 순으로 발생한다. 또한, 인공치료기구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그로 인한 감염질환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의 발생이 많기 때문에 노인에서도 이를 꼭 유념해야 하며, 그 외 대상포진이나 인플루엔자와 같은 바이러스 질환들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 연령이 증가하면서 면역과 관련된 세포들의 숫자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전반적인 면역기능은 감소된다. 이러한 면역기능의 감소는 곧바로 감염질환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로 이어진다. 면역기능 이외에 인체의 정상적인 방어기전으로써 작용하는 여러 기능들이 노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감소하여 여러 기관에 감염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 노인에서의 감염질환은 다른 연령에서 볼 수 있는 감염질환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들은 노화로 인한 구조적, 그리고 생리적인 변화에 의해 비롯된다. 노화 그 자체가 감염질환의 원인 또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감염질환 역시 노화에 대하여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시사되고 있다. 노인에서의 감염질환의 이해는 현대의학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저자
- Kimberly A Klin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29()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3~67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