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산화 성분의 생체 조절기능과 그 활용
- 전문가 제언
-
○ 식품 중에는 다양한 생체 조절 인자가 존재하고 그 대부분이 다기능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식이섬유는 항암작용, 지질대사 조절작용, 항비만 작용, 항당뇨 작용, 면역증강 작용, 항알러지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
○ 자연에 존재하는 항산화제 중에는 폴리페놀화합물,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 리그난(lignan)류 등 페놀성 항산화 성분의 생체 조절기능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들 성분이 다기능성을 갖는다는 보고되었다. 항산화성분은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여 제암작용을 발현하지만 암세포 특이적으로 세포자기사멸(apoptosis)을 유도하여 제암작용을 발현할 수도 있다.
○ 폴리페놀화합물에 카복실기나 설탕과 같은 극성기가 결합하면 세포막의 통과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 triphenol 화합물인pyrogallol에 카복실기가 결합된 몰식자산은 히스타민 방출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LTB4 방출억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 녹차 폴리페놀에 EGCg가 높은 생리활성을 갖는 것은 B환(ring)과 galloyl group 바탕으로 트리페놀 구조가 존재하는 것이며 녹차폴리페놀의 LTB4 방출억제 효과는 구조의 상관관계를 구명한 결과 카테킨의 B환보다 galloyl group의 triphenol 구조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 식물체내 플라보노이드의 대부분은 배당체로 존재하며 이들 aglycone에 당이 부가되면 분자의 친수성이 높아 세포막 투과성이 저하된다. 히스타민 방출억제 활성은 세포막 표면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현되어 배당체도 aglycone과 동등한 활성이 발현된다.
○ VitaminE 유도체는 암세포에 apoptosis를 유도하여 항암작용을 발현할 수 있는데 토코트리에놀 유도체가 토코페롤 유도체보다 강한 암세포 치사 독성을 발현하게 되어 효과적인 제암제로는 토코트리에놀 유도체가 기대되고 항산화 성분의 다기능성 식품개발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Koji Yamada, Shoko Nishizon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36(1)
- 잡지명
- 加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7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