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곡류에 함유된 생리기능성 성분의 효과 -활성산소 소거능 성분과 그 상승 소거능 증대효과-

전문가 제언

인류는 태고부터 곡물을 중요한 식량으로 이용하여 생활하여 왔기 때문에 곡물에 함유된 활성산소 소거 성분이 인체의 건강성을 높이고 수명을 늘려 얼마나 인류의 생존에 공헌해 왔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활성산소는 생체 중에서 면역작용이나 신호전달 등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암이나 생활습관병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 특히 동맥경화의 발증, 암세포의 개시, 단백질, 효소, 핵산 등의 산화작용에 의한 각종 질병, 노화는 모두 활성산소 또는 유리기(free radical)와 깊은 관련이 있다.

 

곡류를 비롯하여 콩이나 녹차 등은 우리의 식생활을 지탱하는 주요한 식량자원으로 이들 식품은 활성산소나 free radical 소거능이 밝혀지고 있어 식품에 의한 인체의 항상성 유지 조절이나 질병예방의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쌀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지금까지 γ-oryzanol, tocopherol, thiamine, inositol-6-phosphate, isovitexin, ferulic acid 등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γ-oryzanol은 미강유나 배아유 중에 1.52.9%, 옥배유 중에는 0.5% 정도 함유되어 있다.

 

메밀, , , 수수(millet) 등의 잡곡류에도 쌀과 비슷한 활성산소 소거능이나 항산화활성을 갖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팥, 흑미, 수수 등 적갈색이나 흑색의 진한 색 종피를 갖는 곡류에서 강한 항산화활성과 활성산소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갖는 주성분은 안토시안류(cyanidin3-glucoside, delphinidin3-glucoside, peonidin3- glucoside)를 중심으로 한 색소 성분 때문이다.

 

쌀과 대두에서 각각 활성산소 소거능이 확인되었지만 쌀과 대두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분말이나 물 추출액을 만들어도 상승적으로 활성산소 소거능이 증대되었다고 한다. 앞으로 수천 년 동안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곡류는 물론 과실과 채소류의 활성산소 소거능에 관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저자
AKIYAMA Yoshinob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58(1)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44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