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키토산 합성과 그것을 무명섬유에 접목시킨 후에 얻은 효과를 ANOVA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여 정량화
- 전문가 제언
-
○ CS는 갑각류에 함유되어 있는 키틴을 인체에 흡수가 쉽도록 가공한 새로운 물질이다. 대부분 반응하는 기능그룹은 주로 OH기(C6로부터)와 C2에 이르는 NH2이다. 그것이 알칼리화 반응에서 이들 기(groups)가 각각 O알킬키토산과 N알킬카토산을 생산하는 알칼리화제에 반응할 수 있다. CS알킬화(alkylation)는 환원적 알킬화, 마이클첨가(Michael addition), 그리고 직접알킬화 이렇게 세 가지 방법이 있다.
○ 세 가지 에틸키토산(ECS)은 원 위치에서 구할 수 있는 AA를 사용하여 준비하고 각 ECS는 패드-건조-치유 기술로 100% 무명섬유에 적용한다. ECS 합성은 쉽게 수행할 수 있고 그리고 그것들을 무명섬유에 적용하는 것은 전통적 패드-건조-치유 절차를 통하여 만들 수 있다. 제시한 방법의 이점은 소프트 촉매가 축합단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황변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통계적 방법으로 ANOVA를 사용하여 주름방지 효과는 AA 농도(0.1-2.1mmol)과 키토산 농도(0.1-2.1mmol)를 변화시키면서 결정하였다. 알칼리화와 접목메커니즘은 FTIR, 1H NMR, XPS, SEM, DSC 그리고 열무게 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주름방지제로 각 ECS의 성능은 정량화 방법을 통해서 밝혔다. 이 정량화 방법으로 가담정도, 주름회복각, 인장강도 그리고 효과의 내구력 등을 점검했다.
○ 점검 결과, ECS는 순수 무명에 비교하여, WRA 및 인장강도 모두에서 높은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각 ECS는 좋은 주름방지제로 사용할 수 있었다. 무명에 접목한 ECSs의 내구성은 심한 작업조건에서 비특정염료로 염색하는 좋은 능력을 보여주었다. 더구나 TECS 처리한 무명은 처리되지 않은 무명의 그것에 비하여 유사한 습윤성과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 무명섬유에 에틸키토산을 합성하여 얻은 효과 이외에 무명섬유에 다른 물질을 합성하여 얻은 효과를 정량화를 위해 ANOVA 통계 분석하여 보다 더 유익한 첨단 무명섬유를 발명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Veeriah Jegathees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38()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4~105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