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용 연료공급을 위한 바이오매스 생산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해양 미세조류 생산 조건은 육지 바이오매스 생산 조건보다 유리하다. 육지는 경작 조건이 열악하지만 해양은 3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 해초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 해양 바이오매스의 이점은 육지의 콩기름으로부터 190ℓ/에이커/년을 생산하는 반면 해조류는 연간 4ℓ, 5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15,000ℓ/에이커/년 생산할 수 있다.
○ 미국에서는 2017년까지 가솔린 사용량의 20%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겠다는 정책을 세웠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학 및 연구소에서 기초연구가 상당히 진척되고 있어 앞으로 미세조류 종 개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대규모 해양농장에 대한 개척이 이루어진다면 항공용 바이오에너지 기술 선진국이 될 수 있다.
○ 바이오부탄올은 C4H10O로 더 많은 수소와 카본을 함유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가솔린 및 탄화수소 생산물과 용이하게 혼합되고 에탄올보다 더 많은 열에너지를 함유하게 된다. 이는 110,000BTUs/gallon로 115,000BTUs/gallon의 가솔린과 유사하며 또한 0.33psi의 Reid Value를 갖고 있어 취급하기에 안전하다. 그래서 85% 부탄올/가솔린 혼합액을 석유엔진의 개량 없이 사용하고 있다.
○ 이 글에서는 연구 영역에서 SRT설립을 위한 생산 토지의 주선, 바이오매스 공급을 위한 협상과 계약, 가치 체인 상 여러 가지 지속성 리스크, 바이오매스 생산 촉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단위 생산량 향상을 지원하는데 앞으로의 작업은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효과적인 방안으로 지속가능한 성취를 위해 모든 이해 당사자들의 투명하고 정력적인 참여의 독려라고 보고 있다.
- 저자
- Helen T. Murphy,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38~750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