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연료의 항공연료 대체 문제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해양에서 미세조류 생산조건은 육지 바이오매스 생산보다 유리하다. 육지는 경작조건이 열악하지만 해양은 해초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 육지의 콩기름에서는 190에이커/년을 생산하는 반면 해조류는 연간 45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15,000/에이커/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바이오 항공 연료를 생산한다면 해초를 원료로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미국은 2017년까지 가솔린 사용량의 20%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한다는 정책을 세웠다. 우리나라도 대학 및 연구소에서 기초연구가 상당히 진척되어 앞으로 종 개발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대규모 해양농장 개척이 이루어진다면 항공용 바이오에너지 기술 선진국이 될 수 있다.

 

항공용 연료를 생산하는 전환기술에는 잠재력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 전략적인 규모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는 신속 열분해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열분해는 건조 바이오매스의 열적 분해로 고형화, 액화 및 가스화를 거친다. 신속 열분해 에서는 500이상의 고온, 대기압 하에서 원유 바이오-오일, 액상 및 숯을 생산하게 된다.

 

이 글에서 액체수소나 액체 메탄은 사용하기에 너무 생산비용이 높고 일반 항공기 엔진에는 적합성이 떨어진다고 했다. 대체 항공연료 생산 및 확산을 검토해 보면 원료공급의 가능성과 기존 연료와의 대체 호환성, 생산 및 확산 문제 등에서 도전해야할 많은 문제들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부나 국제기구의 관심은 규모-확장, 상업화 및 확장을 위한 공급체인의 구축에만 머물러 있다.

저자
Thushara Kandaramath Har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34~1244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