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야 사물인터넷(IIoT)활용을 위한 RFID기반 크랭크축 모니터링과 추적 사례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는 산업부문별 사물인터넷(IIoT)의 구현을 위해, 금속 소재에 제약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RFID기술을 자동차 크랭크축에 적용하는 사례이다. 볼트 헤드에 RFID태그를 삽입하거나 부착하는 형태로 크랭크축 특정 부위에 장착하고 공정 중 태그인식에 대한 시험 적용 결과와 고려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와 금속 소재 및 가공업체들도 공정 및 물류의 부품추적 및 모니터링을 위해 바코드 이외에 RFIID 및 직접마킹(DM)기술을 기적용하거나 추진 중에 있다.
○ 국내외적으로 금속 소재에 대한 RFID태그 장착 기술의 애로나 문제는 이미 이슈화되어 개선과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 상용화 사례의 검증 사실이 공개된 적은 없다. 연구 적용 대상이 크랭크축이라는 소재 에 특이점이 있으나 최신 태그와 실제시스템의 고려 요소를 제시했다는 점에 더 가치를 둘 수 있다. 국내 자동차관련 산학연의 연구와 IIoT 추진에 참조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 국내의 과제평가에서 UHF태그 산출물의 성공가능성이 과대 포장되고 생태계 활성화의 명목 하에 전문지식이 부족한 평가위원회를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감독 강화가 요구된다. 산업성장과 국가 성장의 기본은 첨단기술의 사실적 구현에 있다.
○ 금속용 볼트헤드 장착 UHF RFID 태그를 생산하는 소수의 글로벌 업체들이 있으며 태그 칩과 하우징, 볼트소재, 생산업체 등의 밸류 체인이 복합적 상태에서 사용자의 관심사는 인식률에 대한 신뢰성이다. 최근 링크가 빈번한 볼트태그는 Xerafy의 Pico-iN Bolt Tag, Confidex의 X-Bolt Tag, Gap의 Bolt Tag 등이 있다. 실제 단품 성능이 아닌 시스템 적용 시의 도전과제는 볼트 헤드의 조임 방향이 매번 달라지므로 RFID태그의 360도 원형편파를 가진 다양한 이중 다이폴안테나 개발과 특히 방향성에 상관없는 고정적 최적 인식율의 구현이 공통적 관심사로 보인다. 국내 업체들의 도전이 요구된다.
○ UHF와 Metal Tag를 키워드로 10년간 특허 출원건수는 미국 45건, 중국 31건, 일본 19건, PCT 18건, EPO 16건, 한국 11건등이며, 출원 상위 업체는 Checkpoint Sys.나 3M, 미쓰비시 중공업 등이다. Bolt 키워드 추가 시 특허는 총 4건으로 소량이며 국내업체의 분발이 필요하다.
- 저자
- Diana M.Segura Velandia, Navjot Kaur, William G. Whittow, PaulP.Conway, Andrew A.Wes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41()
- 잡지명
- Robotics and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6~77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