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염환원 혐기성과 황화물산화 호기성 분리막 생물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이용한 섬유폐수의 처리
- 전문가 제언
-
○ 황산염환원을 통한 혐기성(Anaerobic)과 황화물산화를 통한 호기성(Aerobic) 분리막생물반응기는 전통적인 하·폐수처리방식인 생물학적 처리를 전처리로 하고 분리막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공정을 결합하여 섬유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황산염환원혐기성과 황화물산화호기성 분리막생물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이용한 섬유폐수의 처리”를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합성섬유폐수의 처리를 위해 연속적인 황산염환원과 황화물환원 분리막생물반응기의 성능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황산염환원혐기성 분리막생물반응기에서 화학적 산소요구량제거효율이 80%와 85% 사이였으며 거의 완전한 탈색이 실현되었지만 경미한 재염색이 황화물산화분리막생물반응기에서 관찰되었음이 제시되었다. 또한, 두가지 분리막생물반응기의 케이크층에서 높은 고분자량수용성유기물이 관찰되었으며, 혐기성 분리막생물반응기슬러지(Sludge)는 여과성이 더 적었고 안정적인 운용이 약 5 LMH의 유량으로 가능했음이 강조되고 있다.
○ 분리막생물반응기는 차세대환경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고도폐수처리기술로 그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통한 섬유폐수의 처리에 있어서 기존의 산소가 존재하는 호기성처리공정을 보완하기 위해 무산소의 혐기성처리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분리막생물반응기 기술이 발전하면서 세계 주요국에서는 분리막생물반응기의 플랜트설치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분리막생물반응기의 핵심기술인 분리막오염의 해결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분리막생물반응기응용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섬유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현행 처리기술에 있어서 난분해성물질의 제거기술이 미흡하고 처리수의 수질불안정으로 처리과정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기존의 폐수처리공법을 대체할 고효율폐수처리기술로 분리막생물반응기 공법이 절실하다. 따라서 폐수처리분야의 육성과 분리막생물반응기 공법개발 및 산학연협력에 대한 정책지원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Adem Yurtseve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511()
- 잡지명
- Journal of Membran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8~23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