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폐수로부터 클로렐라 피레노이도사 조류(Alga)에 의한 생물환경정화와 염료제거에 대한 실험적 및 동력적 연구
- 전문가 제언
-
○ 섬유폐수의 처리가 그 강한 독성에 의한 수중생물의 위협으로 전 세계적인 관심이 되고 있는 가운데 조류, 특히 미세조류에 의한 생물환경정화와 염료제거가 주목을 받고 있다. “섬유폐수로부터 클로렐라 피레노이도사 조류(Alga)에 의한 생물환경정화와 염료제거에 대한 실험적 및 동력적 연구”를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섬유폐수의 생물환경정화현상을 조사하고 클로렐라 피레노이도사의 건식 및 습식 바이오매스에 의한 염료제거의 비교 실행성을 탐색한다.
○ 본 연구에서는 흡착등온선과 동력 모델이 흡착공정에 대해 적용되었으며, 건식조류 바이오매스가 큰 표면영역을 지녀 더 효율적인 생체흡착제인 것으로 밝혀졌고 습식조류 바이오매스에 비해 높은 결합친화성을 보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저비용 폐수처리와 바이오에너지 공급원료원을 위한 미세조류의 이용 기술은 잘 정립된 사실이며, 조류의 저비용 영양원으로서 폐수의 이용은 물수요의 90%를 감축하고 바이오매스 생산을 더 저렴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조류는 바다, 강, 호수에서 색소로 광합성을 하여 독립영양 생활을 하고, 폐수속의 질소, 인 등을 영양분으로 하여 성장하는 단세포생물(식물)이다. 조류, 특히 미세조류는 섬유폐수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 오염물질, 염료, 중금속 등을 흡착, 제거하여 섬유폐수의 처리, 정화효율을 높이고, 특히 미세조류를 통한 바이오연료 생산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미세)조류를 이용한 생물환경정화와 염료 제거 방식은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가장 각광받고, 환경 바이오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 종전에는 물리화학적 흡착, 침전 등의 방식으로 폐수를 처리, 정화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미세조류를 이용한 대량의 폐수처리 방식은 저비용, 친환경 방식으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는 폐수처리를 위해 미세조류를 이용한 새로운 공법과 기술의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나 미세조류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 기술과 인프라구축이 어려운 과제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기술개발 촉진과 이에 대한 정책지원 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Vinayak V. Pathak,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63()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0~27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