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urcumin: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치료효능

전문가 제언
Curcumin은 카레의 원료인 강황(turmeric, 또는 Curcuma longa)에서 추출한 소수성 polyphenol 이다. 강황은 4000여 년 전부터 향신료와 약재로 사용하였다. Curcumin의 효능은 매우 다양하며 항산화성, 항염증, 항암성, 항균성 등의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curcumin은 다양한 질병치료에 사용하였으며 현재 이에 관한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염증성 장질환(IBD) 대한 효능을 논의한다.

 

염증성 장질환에서 산화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이 된다. 만성적 IBD의 특징은 장 내강에서 적혈구의 침윤과 여러 가지 염증성 cytokines 그리고 ROSNO의 생성이다. ROS는 백혈구, 특히 다형핵호중구에 의한 면역반응을 증진시키고, 이로 인해 조직손상을 심화시킨다.

 

또한, 염증반응은 NF-kB에 의해 매개된다. NF-kB는 선천성 면역과 적응성 면역을 조절하는 IL-6, IL-12 IL-23 발현을 조절한다. 그런데 NF-kBIkB(억제단백질)에 결합되어 세포질에 격리되어 있다가 TNFαIL-1과 같은 염증성 cytokines, 바이러스 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NF-kB의 억제를 이용한 치료전략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염증반응은 ER 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된다. ER 스트레스는 ER 내에 접히지 않은 단백질과 잘못 접힌 단백질이 축적하면 ER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이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UPR(Unfolded Protein Response)가 활성화된다. ER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세포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은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며, ER 스트레스 경로의 조절인자가 치료제 발견을 위한 매력적인 표적이 된다.

 

염증성 장염은 산화스트레스, NF-kB에 의한 염증반응 및 ER 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CurcuminIBD에 대한 임상실험에서 출혈도 없이 장운동이 개선되었고 예방효과도 나타내었다. 국내 연구현황은 강황을 이용한 다이어트식품 연구, Curcumin을 사용하여 장내의 박테리아 침투를 막는 연구 등이 있었다. Curcumin은 다양한 질병에 효능이 있으므로 이것을 사용한 약제의 개발이 요망된다.

 

 

저자
Remya Sreedha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1(5)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43~849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