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CT 메가트렌드에 따른 하이퍼 커넥티드 클라우드의 대응

전문가 제언

ICT 업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나날이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큰 패러다임의 변화와 비즈니스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중대한 국면에 있다. ICT업체라고 해도 종전의 SI(System Integration)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준비해 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문헌에서는 최근의 ICT의 메가 트렌드와 미래 동향을 기술면에서 개관하고 지금부터 대응해 가야 할 하이퍼 커넥티드 클라우드의 연구개발 전략과 이에 대한 연구과제에 대해 정리한다.

 

    ○ ICT의 메가트렌드는 세 가지 기술 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종래 물리적인 단말, 서버, 스토리지의 세 축을 따라 기술 혁신이 진행되어 각각 모바일/IoT」 「클라우드」 「빅 데이터라고 하는 형태로 진화해 왔다. 향후는 세 축의 메가트렌드가 상호 연계하면서 디지털 세계와 실세계가 융합한 거대한 클라우드 공간 전체가 향후 비즈니스 플랫폼의 기본이 된다고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개발 방향은 퍼 커넥티드(hyper-connected) 클라우드라는 개념이다.

 

    하이퍼 커넥티드 클라우드는 지금까지 데이터 센터에 집약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메바처럼 곳곳에 분산 배치되는 형태로 진화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취급 방법에도 변화가 요구된다. 이때 분산 배치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어떻게 관리하는지가 아키텍처적으로도 큰 과제가 된다. 또한 향후는 클라우드별로 구축하고 있는 인프라를 네트워크 수준에서 공통화하여 클라우드 내, 클라우드 간, 클라우드·단말기 간에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도 과제이다.

 

    ○ ICT 기술들은 빠르게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의 주도권을 가진 기업들은 경쟁구도에서 생존을 보장받을 수 있는 열쇠로 첨단성과 진보성, 가치성을 내장한 기술과 서비스를 앞세워 미래의 강력한 기반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ICT 메가트렌드에서 혁신적인 ICT 기술 및 서비스 동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포착이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대학 및 연구기관과 ICT 기업은 하이퍼 커넥티드 클라우드 등 미래를 주도할 수 있는 첨단 기술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저자
Ida Ichir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66(5)
잡지명
雜誌FUJITSU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8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