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 도시를 위한 클라우드 지원 데이터관리 기반 구조

전문가 제언

스마트 시티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을 위한 기반시설이 인간의 신경망처럼 도시 구석구석까지 연결된 도시를 말한다. 따라서 스마트 시티에서는 사무실에 나가지 않고도 집에서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텔레워킹(teleworking)이 일반화될 것이다. 스마트 시티와 비슷한 개념으로는 공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도시를 나타내는 테크노피아, 네티즌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나타내는 사이버 시티, 거대도시의 새로운 형태를 의미하는 월드 시티 등이 있다.

 

도시의 계획 및 개발에서 스마트 시티에 대한 화두가 최근 급격히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Amsterdam Smart City, Smart City Wien, Smart City Expo, Smart Cities Summit, Smart City Council 등이 최근 등장했다. 비슷한 시기에 IBM, Cisco , Siemens 등의 글로벌기업에서도 스마트 시티를 주요 주제어로 다루고 있다. 인도에서는 스마트 시티를 100개 건설한다는 발표를 하였고, 중국은 수백 개의 스마트 시티를 만들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얼마 전 경기도 고양시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관하는 “IoT ·복합 시범단지 공모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되었다. 호수공원, 열병합발전소, 시립어린이집(풍동, 마두), 에너지자립마을 등 실증지역에서 안전, 환경, 에너지 분야 6개 실증서비스가 시작되고 일산 동구에 실증지원센터 구축, 각종 규제 및 법제도 개선, 시민참여 성과홍보 등이 함께 진행된다.

 

급속한 세계적 도시화의 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 시티의 구축이 필요하다. , 신흥국은 도시화로 인한 문제 해결, 선진국은 노후 된 도시의 재생을 위해 스마트 사업이 필요하며, 스마트 시티의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시가 정보화 스마트도시로 남기위해서는 현재의 도시정책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정 공간 정보화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도시정보시스템에 제공하여 대민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
Muhannad Quwaider, Mahmoud Al-Alyyoub and Yaser Jararwe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83()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232~1237
분석자
심*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