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 방사선 사진 및 X-선 형광에 의한 타임캡슐 비파괴검사
- 전문가 제언
-
○ 모든 문화재 속에는 역사와 문화 및 재료와 기술 등이 감춰져 있으며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대다수이다. 이들을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현대 과학기술들이 응용되면서 문화재가 지닌 수수께끼를 풀어 나아가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부터 문화재 보존과학분야 연구에 중성자, X-선, 감마선,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측정분석·시험검사 기술 등 방사선 이용기술들이 이용되었고 1990년대 이후부터 중성자 방사화 분석, X-선 형광분석 등을 이용한 고고학적 시료의 미량원소 정량분석이 활용되어왔다.
○ 최근에는 X-선 분광분석, 중성자 영상기술, 방사선 조사기술, 가속기 질량분석 등 방사선 이용기술들이 문화재 보존, 복원, 감정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하였고 지난 6월 초에는 국립문화재연구소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HANARO) 중성자를 이용한 핵 분석기술과 방사선 조사기술 등을 문화재 보존·복원·분석 등에 적용하기 위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한바 있다.
○ 본문에는 캐나다 Hamilton Gore 공원의 도심 건축부지로부터 회수된 꼭대기가 덮인 관모양의 금속대상물질을 조사하기 위해 X-선 형광(XRF, X-ray fluorescence)과 중성자 방사선 사진법(NR, neutron radiography)을 적용한 우수한 문화유산 연구사례가 제시되었다. 그 결과, 대상물체가 1차 세계대전 중에 전사한 1800명의 캐나다인 이름 등 역사기록이 내장된 타임캡슐과 내용물들임이 상세하게 밝혀졌다.
○ 본문에 제시된 중성자 방사선 사진 및 X-선 형광에 의한 타임캡슐 비파괴검사에 대한 구체적 기법과 해석·논증방법은 타임캡슐 장기저장이 확대되고 있는 국내 문화유산 보존과학분야에서 방사선 비파괴 분석기술 활용기법의 적용에 참고가 될 좋은 연구사례가 될 것이다.
- 저자
- B.L. MacDonald, J. Vanderstelt, J. O’Meara, F.E. McNeil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367()
- 잡지명
-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B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6~52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