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영상용 X-선 및 감마선-조사 Ag-활성 유리 검출기의 시간-분해 조사선량 평가
- 전문가 제언
-
○ 방사선 영상 진단기기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내는 방사선을 특수카메라로 촬영하여 위치를 측정하고 몸속에 방사성 동위원소의 분포를 영상으로 만들어서 체내에 방사선 의약품의 분포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영상으로 만드는 기기로서, X-선이나 감마선 등 방사선의 조사선량을 측정하는 검출기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 Ag-활성 인산염 유리(Ag-activated phosphate glass)는 방사선을 쪼이면 부여된 에너지 정보가 유리에 축적되며 이를 외부에서 자외선으로 자극하면 형광(RPL, radiophotoluminescence)이 방출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에 기반을 둔 유리 선량계는 Ag 이온의 화학적 변화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축적된 선량정보의 손실이 1% 미만이고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다. 동시에, 일단 정보를 읽어낸 후에도 선량 정보가 소멸하지 않아서 반복·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치가 정확하고 안정하기 때문에 형광 재료 및 축적형 수동식 검출기로 사용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Ag-활성 인산염 유리 내부에서 X-선 및 감마선 조사에 의해 달성되는 전이상태 조사선량 분포가 최초로 시간-분해(time-resolved) 기법으로 평가되었다.
○ 보건진흥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5년도 국내 의료기기 제품매출액이 7조 554억 원이었고 가장 매출이 많은 기기유형 중의 하나가 방사선 영상 진단기기로서 2016년 시장규모이 약 547억 원 규모로 예상되고 있으며 전량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 수행된 3D 영상용 X-선 및 감마선-조사 Ag-활성 유리 검출기의 시간-분해 조사선량 평가의 결과는 우리나라 3D 영상화 기술의 연구개발과 국산화를 위한 기술지도 구축을 위한 세부단위 기술의 한 축으로 기여할 것이다.
- 저자
- T. Kurobori, H. Itoi, Y. Yanagida, Y.Q. Ch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793()
- 잡지명
-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11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