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적으로 가동되는 MEMS 스피커에 선행-왜곡을 가하여 선형화하기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모바일 기기들의 슬림화에 따라 이들 기기에 쓰이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등 전기음향기기들의 슬림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MEMS 음향장치 기술은 생각보다 오래 되었고, 그 활용 분야 또한 다양하다. 초기에는 보청기가 기술개발을 주도하였다.
○ 전통적인 초소형 음향기기인 ECM(electret capacitive microphone)이 부피 한계에 도달하면서 반도체 기술과 함께 성장한 MEMS 기술이 그 대안으로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 MEMS를 이용한 초소형 장치의 예는 끝을 들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지만, 요즘 그 중요성에서 가장 주목 받는 기기는 스마트폰에 대량으로 쓰이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이다.
○ 세계적으로 MEMS 음향기기 제품은 주로 Knowles와 Infineon 등 미국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일부 유럽과 일본 회사들이 그 틈을 메우고 있다. 국내 업체로서는 일찍부터 핸드폰 용 마이크로폰 시장을 주도하던 BSE(Best Sound Electronics)가 실장형 MEMS 기기 개발에 나서면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아직은 외국 제품에 시장을 내주고 있지만, 품질과 가격의 장점을 살려 점차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 비록 시작은 늦어서 세계 시장에서의 존재는 미미하지만,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MEMS 센서 분야에서도 점차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 예로 ETRI의 나노융합연구팀은 스마트폰의 대량 보급으로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기술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 외에도 KAIST, 서울대, 연세대 등 많은 대학과 연구소에서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MEMS 음향기기의 앞으로의 기술개발 방향과 사업 전망은 센서 신호처리를 위한 S/W 기술개발에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센서와 신호처리 S/W를 일체화한 패키지를 구성하는 소자의 국내 개발도 시급히 요구 된다. 기술의 성격상 이 분야는 많은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요구되며, 따라서 벤처창업의 좋은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David Tumpold, Matthias Starkb, Nikolaus Euler-Rolleb, Manfred Kaltenbachera,Stefan Jakubek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236()
- 잡지명
-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89~298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