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망간회수용 산침출 기술 ? 망간광석 광미

전문가 제언

망간은 주기율표 74주기에 속하는 전이원소로 원소기호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8g/mol, 녹는점 1246, 끓는점 2061, 밀도 7.21g/cm3이다.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회백색의 금속이다. 망간은 다른 원소와 결합한 형태로 지각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망간을 포함하는 주요 광석은 연망간석·경망간석·망간토이며, 이들 광석은 주로 이산화망간(MnO2)으로 이루어져 있다. 철광석에도 상당한 양이 함유되어 있다. 클라크수 제12위이며 철에 이어 가장 널리 분포하는 중금속이다.

 

망간의 주요 용도는 철과 합금을 만들어 각종 기계, 철도 레일, 강판 등의 제조에, 그리고 알루미늄과 합금을 만들어 음료수 캔 등의 제조에 쓰인다. 여러 반응에서 산화제로 사용되며, 1차 전지인 망간 건전지에서 양극으로 사용된다. 망간은 생물에 미량으로 필요한 필수 영양소인 반면, 많은 양의 섭취는 신경장애를 일으킨다. 철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인산 망간 코팅 처리법이 개발되어 아직 총기류나 자동차 부품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망간 수요증가로 인한 자원고갈과 환경적 측면에서 산업폐기물에서 망간 금속회수는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는 다른 산업에서 재사용 될 수 있도록 화학적 처리와 습식 제련 처리에 의한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이다.

 

산업폐기물에서의 망간 침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침출을 최적화하는데 반응표면 분석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실험 계획을 선택하고, 적절한 모델 함수를 적합화한 다음, 모델의 질과 실험 데이터와의 예측의 정확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망간 생산이 전무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비축물량을 확대하고 아울러 스크랩의 재활용산업 육성을 활성화하여 국내 순환 루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연간 발생되는 폐전지를 활용한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에서 시도된 바 없는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망간 회수기법을 분석하고 새로운 기술 개발을 기대해 본다.

저자
Olivia de Souza Heleno Santos, Corn?elio de Freitas Carvalho, Gilmare Ant^onia da Silva, Cl?audio Gouv^ea dos Santo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47()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14~320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