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골격근에 미치는 우유 생리활성 펩티드의 기능
- 전문가 제언
-
○ 우유에 있는 고형질의 대략 3.5%의 단백질이 있다. 그중 약 80%는 카세인, 20%는 유장 단백질이다. 유장은 β-lactoglobulin, α-lacto- globulin과 효소 및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진 단백질들이다. 유장 단백질에서 유도된 여러 펩티드는 항균작용, 면역조정기능, 항산화 기능, 특정 효소 억제작용, 항-혈전 작용, 길항작용 등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면역, 위-장관, 호르몬, 신경계를 조절하여 암, 골다공증, 고혈압 등을 예방하여 건강유지에 이바지한다.
○ 이 논문은 실험동물 쥐의 근육에서 우유 유장 단백질의 가수분해 산물, 즉 3개의 아미노산 leucine, isoleucine, valine으로 구성된 4개(Ile-Leu, Leu-Ile, Val-Leu, Leu-Val)의 다이펩티드와 유장 단백질(WPH)이 스트레스를 받은 근육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들 생리활성 펩티드들은 열충격 단백질(HSP)의 발현을 유도하여 근육 단백질의 분해와 응집을 예방하고, 비-기능성 근육 단백질을 안정화하였다.
○ HSP는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에 노출되었을 때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처음에는 세포가 가열 충격을 받았을 때 발견된 단백질이지만 온도뿐만 아니라 운동, 감염, 염증, 냉온, 자외선, 기아, 독소 노출, 상처치유 또는 조직 재형성 같은 그밖에 다른 스트레스들에 대하여서도 발현이 증가한다. HSP는 그 분자 질량을 토대로 HSP60, HSP70, HSP90(가장 흔함) 등으로 분류된다.
○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생리활성 펩티드,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는 건국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생명공학 연구원 등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 우유에 있는 WPH의 섭취는 열충격 단백질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 펩티드 존재는 HSP 반응을 유도하는 WPH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는 흥미로운 연구이다. HSP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손상을 정상 세포 기능으로 유지하고 보호하는 것으로 보아 우유 가공 산업에 유익한 자료로 본다.
- 저자
- Moura, C, 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84()
- 잡지명
- Food Research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8~25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