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시설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메탄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에 관한 연구나 정책들이 주로 에너지 분야, 제조 및 건설 산업 분야, 수송 분야에 편중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폐기물 처리나 하·폐수 처리시설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에도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하·폐수 처리시설에서는 CH4 뿐 아니라 N2O와 같은 온실가스들도 배출되며 하·폐수처리 공정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온실가스들의 배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폐수처리 공정의 개발과 보급도 중요하다.
○ 국내의 경우 학계에서 하·폐수 처리시설과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CH4나 N2O와 같은 온실가스의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사례가 있으나 극히 제한적이며,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수학적 모델링과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시키기 위한 처리공정 연구사례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 앞으로 국내 하수처리시설과 폐기물 매립지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산업용 폐수처리시설의 경우에도 업종별로 온실가스 배출 특성이 파악되어야 한다.
○ 또한 하·폐수 처리시설과 하수관거의 구조적 특성, 하·폐수의 물리화학적 특성, On-line 농도 측정결과를 기초로 하여 하·폐수 처리시스템 전체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의 개발과 온실가스 생성과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폐수 처리공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향후 바람직한 연구 주제가 될 수 있다.
○ 하수관거 내의 바이오필름이나 침전물에서 메탄생성 세균(methanogen)에 의한 메탄의 생성조건과 황산염 환원세균(sulfate reducing bacteria)에 의한 황화물(sulfide) 생성 조건이 유사하기 때문에, 화학약품이나 미생물 등을 사용하여 악취 성분인 황화물과 온실가스인 메탄의 생성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도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Yiwen Liu, Bing-Jie Ni, Keshab R. Sharma, Zhiguo Yu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24()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0~51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