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이 운용할 수 있는 저가의 소형 미세먼지 측정기
- 전문가 제언
-
○ 인체 건강 뿐 아니라 생태계, 기후, 산업 등 여러 분야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기 중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들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시간과 장소를 보다 세분화시켜 미세먼지 농도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 국내의 고정식 대기오염 측정소는 토지이용 형태, 측정소 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배치되었으나 여기서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만으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판단하고 효율적인 미세먼지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개인 차원에서 운용 가능한 저가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의 보급과 이들을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망(network) 구축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도 지리정보체계(GIS)를 기반으로 하여 서울과 울산 지역의 PM10 농도의 실시간 서비스에 관한 연구사례와 ㈜NIDS에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상용화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상용화된 소형 센서의 특성과 농도 측정값에 대한 검증(validation), 센서와 정보기술을 접목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망(network)의 구축과 이에 대한 품질관리 절차의 개발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 교통량 밀집지역, 미세먼지와 기타 대기오염물 배출원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측정 위치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을 대상으로 소형 광학측정기(Optical Particle Counter, OPC) 등을 이용한 농도 측정망 구축을 시범적으로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 현재 대기 중 미세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저가의 소형 센서들이 상용화되어있지만 이들이 검출 가능한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 범위, 농도 범위, 운용 온도, 습도 등 기상환경에서의 안정성 등과 관련하여 성능이 미흡한 부분이 있고, 소형 센서의 구입 단가 이외에 이들을 사용한 농도 측정망의 품질관리와 유지, 데이터 처리 등에도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들의 확대 보급에 앞서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ilena Jovasevic-Stojanov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206()
- 잡지명
- Environmental Pol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96~704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