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열섬효과 완화를 위한 차열성 포장 개발에 대한 검토

전문가 제언

도시면적의 2040%가 열 용량이 크고 알베도가 적은 불투성의 포장으로 덮여 있어 여름철 1115시에 노면은 많은 열을 흡수하여 60까지 상승되고 밤(저녁 7새벽 5)에는 열이 방출되어 주변보다 기온이 25높은 도시열섬(UHI)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미국의 대부분 도시는 UHI대책으로 도시 숲 조성, Cool Roof, Cool Pavement를 시행하고 있다. 투수성포장은 숲과 거의 같은 약 7080%의 강수 유출을 감소시킨다. 반사율을 2035% 증가시킨 반사포장은 UHI 기온을 0.8감소시키고, 옥상녹화(Green Roof)5060%의 강수 유출 감소, 냉방부하 저감과 PM, NOx, SOx, O CO 를 제거된다.

 

본문은 UHI 완화대책으로 필요한 차열성 포장을 반사, 증발, 열 이용의 특성으로 구분하고, 증발성포장은 다공질, 투과성, 투수성과 보수성 포장으로 세분하여 장단점을 검토한 결과 감온안료이용 반사포장과 보수제 충전 투수성포장이 우수하였으며, 불투성보다 표면 온도를 최대 20, 도시 캐노피층 기온을 최대 1.9까지 낮출 수 있다. 기상과 도시협곡 등 지리적 조건을 고려해야 하며, 대기질, CO 저감, 물관리 정책, UHI 완화정책과 연계시켜 포장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보급을 확대할 수 있다.

 

차열성도료는 흑색명도를 낮추고, ()적외선 반사율은 증가시키고, 가시광선 반사율은 낮추고 자외선에 대한 내후성이 있어야 한다. 중공세라믹에 흑색합성 무기안료를 혼합시켜 근적외선 반사율:3643%, 가시광선반사율:1416%, 중공세라믹 혼합율을 30%로 증가시켜 개발한(한국교통대학, 2012) 차열성 도료는 포장 노면 온도를 최고 12감소시키고 있다.

 

2010년 서울의 불투수율은 47.7%로 강수의 표면 유출, 건천화와 UHI현상 대응을 위하여 녹색지붕, 도시 숲 조성과 투수성포장을 장려하고 있다. 2012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보수성 블록형 투수성 포장재는 빗물의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포장 표면의 온도가 불투성보다 10낮아 UHI 완화에도 유리하여 보도, 공원, 주차장 등부터 적용하여 도로포장에도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저자
Yinghong Qi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45~459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