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 미세조류의 혐기성소화로 메탄 전환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의 해양 미세조류 생산조건은 육지 바이오매스 생산조건보다 유리하다. 육지는 경작조건이 열악하지만 해양은 3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 해초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 육지의 콩기름에서 190/에이커/년을 생산하는 반면 해조류는 연간 4, 5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15,000/에이커/년 생산할 수 있는 점이 해양 바이오매스의 이점이다.

 

미국에서는 2017년까지 가솔린 사용량의 20%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겠다는 정책을 세웠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학 및 연구소에서 기초연구가 상당히 진척되고 있어 앞으로 미세조류 종 개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대규모 해양농장에 대한 개척이 이루어진다면 항공용 바이오에너지기술 선진국이 될 수 있다.

 

바이오부탄올은 C4H10O로 수소와 카본 함량이 더 많으며 결과적으로 가솔린 등 탄화수소 생산물과 용이하게 혼합되고 에탄올보다 더 많은 열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다. , 110,000BTU/gallon으로 115,000 BTU/gallon의 가솔린과 유사하며 또 0.33psiReid Value를 갖고 있어 취급하기에 안전하다. 그래서 85% 부탄올/가솔린 혼합액을 석유 엔진의 개량 없이 사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배양균의 출처와 C:N 비율은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가 되며 주어진 원료에 대해서는 최적화해야 한다. 소화 프로세스의 증진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전처리를 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가장 효과적인 전처리는 분쇄와 그 밖의 세포벽을 성공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체류시간이 길수록 더 많은 메탄이 생산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Janet McKennedy,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5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781~1790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