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SNII 원자로 개념의 안전성문제 분류 및 범주: 재료에 관련된 공통 현상

전문가 제언

유라톰 7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FP7: Euratom 7th Framework Pro- gramme)이 재정 협조하는, SARGEN-조정조치계획은 유럽 기술 안전성기구(ETSO: European Technical Safety Organization), 계통설계자, ESNII 개념을 위하여 공통으로 동의한 안전성 평가방법론 개발을 위한 R&D 조직과 마찬가지로 산업제조업체를 구성하고 있는 12회원국의 22가입자들이 함께 모여 원자력산업을 추진하고 있다.

 

GEN-의 목표와 일관성 있게 ESNII 개념은 피동형 시스템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고유 안전성 특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안전성 특성을 개선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 목적들은 경수로의 전형적인 것보다 일부 다른 특성으로부터 제한된 자격 도메인 또는 안전성 문제를 가진 재료 혁신적 설계 해법, 선택사항의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연료 피복재가 손상될 경우에 일차 냉각재 안에서의 단편이 누출될 수 있다. 가 딱딱한 재료이므로 일차계통 펌프의 회전부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같은 문제가 를 흡수재로 사용하는 LFR ALFRED, GFR ALLEGRO, MYRRHA/FASTEF에 대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MYRRHA/FASTEF의 상대적 안전성문제에는 용융 LBE 부식성, 증기 화학독성, 냉각재 속의 부식생성물 축적 또는 냉각재 고화가 냉각재유로 차단가능성, 대량의 방사성독성 및 파쇄생성물이 생산되므로 적절한 통제 필요, LBE이 큰 비중 및 그의 양은 외부 요동시 구조적 건전성 또는 시스템 및 기기의 기능에 도전, 노심기하구조상실로 양(+) 반응도 삽입가능 및 출력증가, 증기발생기 파열로 일차 측 과압 가능성 및 증기/물 동반으로 양(+) 반응도 삽입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연구용 원자로 이용연구, 출형 원자로 개발, 핵연료 원자력재료 개발, 융복합 기술 개발, 미래원자력 시스템 개발, 미래형 신기술 개발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저자
K. Tucˇek, S. Hermsmeyer, L. Ammirabile, D. Blanc, E. Wattelle, L. Burgazzi, M. Frogheri, L. Mansani, S. Ehster-Vignoud, B. Carluec, Th. Aoust , C. Niculae, Zs. Elter, I. Tot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7()
잡지명
Annals of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11~425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