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랜트 압력설비의 보수용접

전문가 제언

발전 플랜트를 위시한 석유화학, 가스, LNG 플랜트 등의 각종 플랜트구조물들은 가혹한 환경에서 장기간 운전되고, 운전 중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이나 열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손상이나 열화는 종국에는 내부 유체의 누설, 폭발, 화재 등의 심대한 재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설계, 제작 단계에서는 이에 대한 충분한 대응이 필요하고 운전 중에는 상시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 유지와 보수 관리 활동이 필수적이다.

 

플랜트 구조물의 운전 중 환경에 의한 손상과 열화현상은 자연 부식,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에 의한 취화(템퍼링 취화), 크리프 취화, 스테인리스강재의 경우에는 시그마(σ)상 취화, 수소침식에 의한 수소유기 균열, 유화물 응력균열(Sulfide Stress Cracking), 용접부의 박리균열(Disbonding), 응력부식균열 등의 손상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 열화 손상은 이들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용접에 의한 보수작업을 통해 복구되는 것이 기본이다. 또한 복구 후에는 규격에 입각하여 적절한 PWHT(Post Weld Heat Treatment)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문은 플랜트 압력 설비의 용접 보수에 관해 다룬 내용으로 용접보수의 방법과 그 특징, 보수의 시기적 단계, 용접보수의 실례에 대해 서술한 내용이다. 그 중에서 특기사항은 보수용접 단계에서도 각종 규격에 따라 PWHT를 시행하여야 하나 여러 가지 제약으로 전체 PWHT가 어려울 경우 대체 방법인 템퍼비드(temper bead : 초층 용접열영향부의 연화를 목적으로 초층비드 후 2층 비드 용접 시 초층보다 입열량을 많게 하여 템퍼링 효과를 도모하는 용접비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보수용접에 관한 규격이 미비하여 국제적인 보수용접 규격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현재 국산의 발전 플랜트, 석유화학 플랜트, 해수 담수화 플랜트 등 각종 플랜트 구조물의 노후 설비가 국내외에서 다수 가동되고 있어 용접 보수에 대한 수요가 국내외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조선해양 기자재 관련 중소기업체에서도 현재의 조선 경기 불황 속에서 각종 플랜트 구조물의 보수작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SAKADA Kentaro, AKIDA K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4(5)
잡지명
溶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8~84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