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고형폐기물의 최적관리와 에너지 생산

전문가 제언

도시고형폐기물(MSW)의 관리시스템을 그리스의 아테네 지역에 대해 최적화 모델로 평가한 사례를 제시한 논문이다. MSW 관리의 최적화 모델로서 MSW 시설의 각종 시설비와 운영비, 외부환경비용 및 수익성을 평가하여, 비용 최소화와 지구온실가스(GHG) 배출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최상 절충안을 산정해, MSW 최적관리기법을 도출한 것이다.

 

MSW 관리의 최상 절충안에서는 도시고형폐기물의 자원순환과 더불어 MSW를 통해 전력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MSW 관리에 있어서 핵심적인 사항으로 나타났다. 환경적인 외부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MSW의 소각을 선호하는 반면, 외부 비용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소각의 비중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중요한 영향 인자이었다.

 

유럽연합의 그리스 아테네 지역을 대상으로 평가했으므로, MSW의 조성과 전기요금 및 자원순환 물질의 매각가격이 지역(아시아·아프리카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그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RDF는 판매금액이 그러한 변화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고 있어, 한국에서와 같이 RDF의 무상제공이나 비용부담 등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개발된 MSW 최적화 모델을 유럽연합의 여타 대도시 지역이나 아시아·아프리카 등의 대도시 지역에도 적용해 실증해 볼 필요가 있다.

 

MSW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되고 있지 않은 사항은 MSW의 구성과 조직이 시대적 대세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서유럽의 경우, 애완동물·반려동물이 1인당 1마리에 이를 정도로 다수이고 다량이지만, 이들의 사체가 도시고형폐기물의 Bio-waste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유럽연합에서도 반려동물 매장장이나 화장장이 본격화·일반화되고 있지 않은 점이 이를 증언해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반려동물의 폭증과 이의 사체증가가 포함된 도시고형폐기물의 현재적 조성과 함유량을 분석하고, MSWBio-waste 부문을 물리학적·화학적으로 새로이 정의하여, 21세기 MSW의 특성에 따른 MSW 관리 시스템의 최적화 모델을 개발해 발전시키고, 그에 따른 MSW 처리 시스템도 새로이 개발해 나가야 한다.

저자
George Mavrotas, Nikos Gakis, Sotiria Skoulaxinou, Vassilis Katsouros, Elena Georgopoulo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05~1222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