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쿄에 유통되는 소 내장고기의 배설물계 대장균 군과 베로독소 생산균의 검출

전문가 제언
일본은 식중독균에 오염된 쇠고기 및 소 내장 고기의 생식과 가열 부족 상태의 섭취와 이차 오염을 유발하는 식중독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어, 생식용 육류에 대해 2011년에 규격기준이 설정되었고 2012년 7월에 소의 간을 생식용으로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우리도 이러한 대책이 더 욱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식약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월 식중독 주의 정보를 알리고 있는데, 5월 중의 발표내용을 발생 시설별로 보면 학교가 61.4%로 가장 높고, 수련시설 등 집단급식소(14.4%), 음식점(12.2%)의 순이며, 원인병원체별로 보면, 병원성 대장균(35.0%), 노로바이러스(16.8%), 황색포도상구균(8.5%)의 순으로 식중독이 발생하였다.

 

식약처는 국내에서 이미 유통된 식품 중 기준·규격에 부적합해 회수 및 판매중지된 제품을 공개하여, 소비자는 해당제품을 구입 장소에 되돌려주고 판매자는 해당식품 판매를 중지하고 회수업체에 반품하도록 하고 있는데, 문제가 된 제품은 2016년 5월에만 대장균이 검출된 생식 제품 등 모두 22건이었다.

 

"대장균 O-157" 이라는 세균은 주로 소 등 가축 대변이 육류에 오염되어 전파되는데 특히 덜 익힌 고기를 섭취함으로써 많이 발생되고 있다. 또 햄버거의 경우 고기는 육질을 다져 만들기 때문에 육질표면에 오염된 세균이 햄버거 고기 속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이 고기를 대충 익히면 속에 있는 세균이 죽지 않고 병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국내연구로는 김홍의 장출혈성 대장균 0157:H7 eaeA 유전자의 재조합 및 발현 분석에 관한 논문(2001)과 김도균의 장출혈성 대장균 0157:H7의 Intimin 발현과 면역반응 효과(2001)에 대한 논문 등이 있다.

 

2003년은 전 세계적으로 사스를 비롯해 0157 장출혈성 대장균·푸젠 A형 독감·H5N1 조류 독감·광우병이 맹위를 떨쳐 전염병의 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거울삼아 전 세계적인 대처가 요구된다.


저자
Yukako Shimojima, Miki Ida, Yukari Nishino, Rie Ishitsuka, Sumiyo Kuro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32(4)
잡지명
日本食品微生物???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09~214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