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료의 관점에서 본 3D 프린터의 현재와 미래

전문가 제언

적층조형 또는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방식인 3D프린팅기술이 지난 수년 동안 새로운 산업혁명을 가져올 가능성”, “미래 제조기술혁신의 리더로 글로벌 이슈화하면서 매스컴의 주요화제가 되어왔다. 이 자료는 20163월 현시점에서 3차원 적층조형장치인 3D프린터 및 재료의 동향과 글로벌 토픽, 미래를 종합적으로 개관한 내용이다.

 

3D프린팅기술은 제조기술+디지털 융합기술의 벤처창업 특성으로 미국, 유럽, 일본중국 등 아시아 주요국의 3D프린팅관련 벤처기업대학연구기관들의 개발투자가 매우 활발하다. AM기술에 대한 이스라엘의 도전과 성과는 매우 상징적이다. 새로운 AM시스템개발 진원지로 주목받고 있고 선두주자 Stratasys 등과 합작합병시스템이 유지되고 있다.

 

일본은 “Rapid Prototyping”기술의 상업화에서 미국에 선점당한 3D프린터 시장의 도전을 위해 경제산업성의 NEDO프로젝트(초정밀 3차원 조형시스템 기술개발)를 통해 초고속 조형속도와 저가격 3D프린터를 곧 선보일 전망이며, 동시에 시스템에 적합한 조형재료(열가소성 수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국내 3D프린팅산업은 20144월 정부의 ‘3D프린팅산업 발전전략발표 이후 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후진적 출발이다. 3D프린터공급(’14)의 경우, 글로벌 선두주자(3Dsystems )들이 60% 이상을 점유한다. 그러나 국내기업 캐리마, 로킷의 자체브랜드가 13%를 점유한 것은 3D프린터산업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 본 자료에서 한국 카리마가 개발한 광경화성 수지의 고속 연속적층조형시스템을 토픽으로 다룬 것은 특기할만하다.

 

AM장치(3D프린터), 적층조형재료, 3D CAD/스캐너 사용 환경, 적층조형 제어알고리즘, 고속조형, 금속세라믹 조형, 표준화 등 국내 산업계와 연구계가 도전해야할 과제는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3D프린팅연구조합의 탄생과 연구활동은 관련 산업기술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정부출연(), 대학과 적극적인 R&D협력, 시험평가협력이 필요하며, 정부는 연구조합의 R&D 컨소시엄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저자
HAGIWARA Tsune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64(5)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8~24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