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D 프린터 수지재료의 개발과 포인트

전문가 제언

금속재료로의 모델링도 본격화 되고 점점 3D 프린터의 이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다. 수지, 금속에 이르는 폭넓은 재료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고점성, 연질성, 신축성 재료, 복합재료와 생체조직 등 다양한 재료로 조형하는 경쟁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재료의 개발과 이용이 향후의 3D 프린터의 이용 폭을 넓일 수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3D 프린터 수지재료라고 한마디로 말은 해도 조형 방식과 용도에 따라 그 내용은 다양하다. 조형 방식은 ASTM에서 7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그 가운데 본 문헌에서는 재료 압출법(Material extrusion), 결합제 분사법(Binder jetting), 재료 분사법(Material jetting)3종류에 대하여 다룬다.

 

3D 프린팅을 위한 기술은 모델링 기법, 프린터 장비 제작 기술 그리고 필라멘트에 필요한 소재 개발 기술이다. 우리나라의 현 상황은 이와 같은 기술은 초보 단계로 우리 고유기술은 아직 없다. 이에 가장 중요한 새로운 3D 모델링 알고리즘 개발과 새로운 소재 개발기술 등은 우리가 시급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는 객체 제품제작 기술의 인 국제표준을 소상히 이해하고 그것을 수용하는 제품을 제작하여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우수한 3D 프린터를 제작할 수 있다. 사용자도 새로운 알고리즘을 구상하여 우수한 3D 프린팅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게 되어 이 분야에서의 선진산업국이 되는 지름길이 틀림없다.

 

재료 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와 새롭게 개발되는 3D 프린터의 특성에 맞춰 개발되는 것이 보편적인 경향이다. 따라서 3D 프린터용 재료의 경우 세계적으로 몇몇 기업에 독점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 아는 특성의 재료라 할지라도 3D 프린터 소프트 및 하드웨어 개발과 함께 참여하고 채택되어야만 한다.


저자
Yamaguchi shuic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64(5)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35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