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운행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에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완전 자동화된 자율주행 자동차(self-driving cars)로 이행하기까지는 여러 단계가 있다. 첫 번째 단계인 부분적 자동운전에는 도달했지만, 고도로 자동화된 자율주행 자동차는 2025년 이후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국제 자동차 공학회(SAE International)는 도로 차량 자동운전 단계를 6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모든 운전 기능을 인간 운전자가 수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자동적으로 운전하는 시스템까지 일련의 발전은 각각의 자동운전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실현된다.
? 레벨 0은 인간 운전자가 전적으로 모든 조작을 제어하며, 레벨 1은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탑재되는 것이 특징이고, 레벨 2(부분적 자동운전)는 스티어링과 가속 및 감속을 갖춘 특정한 운전 모드를 실행하며, 레벨 3(조건부 자동운전)의 자동운전 시스템은 동적 운전 조작의 모든 측면을 제어하지만, 필요할 경우 운전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단계이다. 레벨 4(고도 자동운전)는 운전자가 즉시 대처할 필요 없는 시스템이고, 레벨 5(완전 자동운전)는 완전히 자동적으로 운전하는 시스템(자율주행 자동차)으로 모든 환경 조건을 떠맡는다.
○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IHS Automotive는 2025년에 저속의 레벨 5 자율주행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2030년에는 모든 속도의 레벨 5 자율주행차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2035년에 전 세계 자율주행 차의 연간 판매 대수가 1,200만 대에 달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Google사는 2020년에 자율주행자동차를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 국내에서도 현대기아차가 2000년대 초반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을 추진하여 차간거리 유지와 같은 초보적 기술은 이미 상용화하고 있다. 2010년에는 현대차가 개발한 자율주행차가 4㎞ 거리를 주행하는 데 성공했으며, 2018년까지 자율주행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을 세워두고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저자
- Hiroshi Takaha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9(12)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9~85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