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드론의 자동비행과 안전규제

전문가 제언

무인항공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로 '벌이 윙윙 거린다'는 뜻에서 드론"(drone)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독립된 체계 또는 우주/지상체계들과 연동시켜 운용하며, 활용분야에 따라 광학, 적외선, 레이더 센서 등의 다양한 장비를 탑재하여 감시, 정찰, 정밀공격무기의 유도, 통신/정보중계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폭약을 장전시켜 정밀무기 자체로도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향후 미래의 주요 군사력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과학기술, 통신, 배송,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무인항공기는 군사적 용도로 시작되었으며, 무인항공기에 가까운 형태는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수명을 다한 낡은 유인 항공기를 '공중 표적용 무인기'로 재활용하는 데에서 만들어졌다. 미군이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Global Hawk는 현존하는 최고의 성능의 무인정찰기이다. 영국에서는 2013년에 Taranis라는 스텔스기능을 무인항공기가 개발되었다.

 

민간분야에서는 헬리캠(helicam)이라는 무인항공기가 촬영에 사용되고 있다. 아마존의 Prime Air는 무인드론이 배송지의 위치를 확인하고 날아가서 택배를 집에 배송해주는 소형 무인항공기이다. 통신 분야에서는 태양광을 동력으로 한 타이탄 에어로 스페이스의 Solara 50이 개발되어 있다. 드론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51.3억불에서 2020년에는 10억불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의 무인항공기는 1990년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에 착수해 2004년부터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정찰용 송골매, 날개폭이 25미터에 이르는 대형 중고도 무인기 및 틸트로터 방식의 600마력 급 스마트 무인기, 대한항공의 근접감시용 무인항공기 등이 있다. 송골매는 무인정찰기로 1991년도 국방과학연구소, 성우엔지니어링, 대우중공업 등이 공동개발에 착수하여 2000년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그리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유콘시스템 등이 참가하여 개발 중인 스마트 무인항공기는 2002년부터 개발이 진행 중이다.

저자
Shinji Suzu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69(12)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90~95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