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폴리머 첨가 시안화법?금회수 향상
- 전문가 제언
-
○ 금광 탐사 개발은 오랜 인간역사를 통해 진행되어 오면서 금 매장량은 날로 줄어들게 되었다. 그래서 금을 함유한 광석에서 금과 은을 침출해 내고 회수율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오늘날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 최근에는 목재, 대나무, 짚 따위의 목화한 식물체 속에 20-30% 존재하는 방향족 고분자화합물인 리그닌(lignin)에 기초한 생물고분자물질(biopolymer)을 사용하여 금과 은의 회수율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리그닌에 기초한 생물고분자물질의 농도, NaCN의 농도, 슬러리(slurry)의 밀도 및 광석입자 크기의 분포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시안화법 침출시험으로 금과 은의 회수율을 증가시키는 최적조건을 찾고자 한다.
○ 시험작업 결과, 생물고분자물질의 정량이 800mg/L일 때 금과 은의 회수율은 각각 4.5% 및 6.4% 증가되었다. 리그닌에 기초한 생물고분자물질은 침출슬러리에서 미립의 고체입자를 분산시켜 광석을 안정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는 광석과 침출 요소 사이의 접촉을 더 좋게 한다.
○ 금과 은의 회수에서 생물고분자물질의 첨가는 시안화물의 소모를 증가시키고 pH를 낮추고 철분의 용해를 증가시키며 금을 함유한 황철석을 용해시킨다. 점성이 낮은 슬러리와 더불어 생물고분자물질의 첨가는 금을 함유한 황철석에서 금의 회수율을 증가시킨다.
○ 한국에는 1,000여 개가 넘는 많은 금 광산들이 한때 개발되었으나 지금은 대부분의 광산이 휴폐광 상태이다. 최근 국내 가행(채굴·생산가능) 금광산은 11개가 되고 있다. 금 광산의 광석은 대부분 채광되었거나 남아 있는 광체의 품위가 매우 빈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서도 리그닌(lignin)에 기초한 생물고분자물질(biopolymer)을 사용하여 금과 은의 회수율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Chandra, M.Z. Mubarok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89()
- 잡지명
- Minerals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9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