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제 규모 혐기성 농장 반응기의 가동시작 단계

전문가 제언

바이오매스의 혐기성소화는 온실가스 배출저감, 영양 염 회수, 유기토양 개량제등의 환경적 편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망한 녹색에너지원으로 고려된다.

 

본고의 목적은 우거수와 농장 우분으로 접종한 실제규모 농장 혐기성 반응조의 가동단계에 미생물 군집구조가 어떻게 확립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소화온도, 유기물 부하율과 같은 많은 환경변수 외에 기질의 유형도 미생물 군집성장과 구조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환경변수 중에 온도, 알칼리도, 자유 암모니아, 총 고형물 및 산소 함량은 미생물 동태에 주요 원인임이 밝혀졌다.

 

혐기성 소화 공정이 안정 상태에 이르면 세균 다양성, 균등도 및 풍부도는 감소고, 바이오가스 생산에 최적인 몇몇 강력한 미생물군이 자리 잡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가스화 시설 현황은 2014년 현재 정부지원 아래 전국 10개 시설이 완공되어 가동 중이나 아직 기술 부족으로 대부분의 시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2020년까지 8곳에 추가 설치계획을 가지고 있다.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률은 하·폐수처리 등에 이용되는 호기성미생물의 10분의 1에 불과해 혐기성소화조에서 미생물을 배양, 안정화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향후 혐기성 소화에 관여하는 진핵생물의 메타지노믹스(메타유전자)metatranscriptomic 연구를 통해서,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이들의 잠재적 활동과 역할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Xavier Goux,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212()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7~226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